Psychology/Object Relations

대상관계 요약 01 - 정신분석과 대상관계이론

날까마귀 2019. 3. 29. 14:51


1. Sigmund Freud (1856~1939)의 생애와 정신분석의 발달

 (1) 1기 손상이론 시기 (1856~1897)

Anna O 사례와 Charcot 박사를 통해 Hysterie의 원인 → 심리적 손상(psychic trauma)와 성문제

Charcot : 심리적 원인에서 정신질환 발생, 정신기능이 두 가지 다른 면(의식과 무의식)을 갖고 있음

히스테리 환자 관찰 : 증세의 발생이 상처받은 기억과 관계. 기억은 제2의 의식(무의식)에 숨어 있음

신경증의 원인 : 사건에 대한 기억, 심리적 손상의 경험 (거의 성적인 흥분과 관계된 것. 성욕) 최면을 통해 마음속에 숨겨진 손상기억을 찾아 냄(무의식의 존재 발견) → 말하게 함 → 치료    정신분석의 시작

최면술에 실망 (최면에 잘 걸리지 않는 사람 존재. 최면을 잘 거는 타입이 아님. 최면치료의 효과가 일시적. 최면술로 인해 의사에게 성적감정을 느낌) → 압박법(pressure technique) 이용

압박법 : 프랑스 최면술사 번하임에게 배움. 환자의 눈을 가볍게 두드리면서 기억나는 것을 말하라고 요구 (일종의 지시이자 암시). 최면보다 더 힘든 결과 →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 technique) 사용

자유연상법 : 긴 의자에 누운 환자가 볼 수 없는 자리에 앉아서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을 말하라고 함

 (2) 2기 무의식과 지정학 이론 (topographical frame of reference) (1897~1923, 41~67)

정신분석 이론과 치료기법이 급속히 발전

환자의 꿈과 공상에 관심

    - 1기 말 : 어릴 때 손상경험(실제 있었던 사실, 대부분 성적인 것)이 나중에 꿈과 정신증세로 표출  유아기 손상(infantile trauma) 이론

    - 41: 어릴 때의 공상을 실제처럼 기억 → 유아기 공상(infantile fantasy) 이론

      ⇒ 역동개념(dynamic concept) 시작 ⇒ 진정한 정신분석의 시작(1897)

역동개념 : 인간의 내면세계의 무의식의 기능을 설명하는 개념

  - 관심의 초점이 외적 현실 사건에서 환자의 내면세계(internal world)로 옮겨짐. ‘꿈의 해석출간

마음의 지정학적 모델(topographical model)이라고 부름 (지상, 지하와 같은 공간적, 지리적 개념으로 심리적 모델을 설정) → 자아는 억압이라는 심리기제를 이용해 불편한 욕구나 생각을 무의식으로 추방 (무의식과 의식을 나누는 방어기제는 억압)

  - 무의식(unconscious) : 본능적 욕구, 소망. 성욕 관련. 비합리적. 원시적. 1차과정. 쾌락추구. 만족추구

  - 전의식(preconscious) : 무의식 표면에 해당.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자리잡음

  - 의식(conscious) : 2차과정. 논리적. 합리적. 외부현실 고려. 이상과 행동규범. 현실원칙

마음의 지정학적 모델은 프로이트의 자기분석에 도움이 됨

  - ①1896년 아버지 사망 → 죄책감과 신경증에 시달림 → 41세 때 자기분석 시작(주로 꿈 이용) → 기억하는 최초의 어머니 꿈 → 어머니에 대한 성적 욕구가 표현 (어머니와의 성관계에 대한 욕망이 무의식에 숨어 있었음)

    ②부모님 성교 장면이 7세 이후에 자주 떠오름(오줌을 쌈) → 성교를 방해하고 싶었던 것 →     아버지를 제거하고 싶은 소망 확인

  - 자기분석을 통한 통찰 : 아버지의 죽음은 무의식에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자고 싶은 소망이  있었고, 이것에 대한 죄책감과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질투심으로 인해 아버지의 죽음을 원했음) → 소포클레스의 외디푸스 왕이 생각남

이성의 부모를 사랑하고 동성의 부모를 라이벌로 느껴 질투하고 증오하는 삼각관계 (인간 내면세계에 공통적으로 있음) → 어머니를 독점하고 싶지만 아버지라는 강하고 두려운 남성 때문에 좌절 → 아버지가 보복과 처벌을 할 것이라는 두려움, 즉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 외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 모든 신경증의 중심에 있음

 (3) 3기 구조론 시기 (structural theory) (1923~1939, 67~83)

∙ ‘자아와 이드(The Ego and the Id)’ 발표부터 제3기가 시작. 지정학 이론을 포함한 구조론으로 발전

삼원구조이론 (‘죄책감을 지정학으로 설명하기 어려워 초자아의 개념을 가지고 설명하게 됨)

  - 원초아(Id) : 무의식의 개념을 대부분 포함. 본능적 욕구. 무의식처럼 쾌락의 원칙. 1차과정

  - 자아(Ego) : Id에서 발생. Id의 압력과 현실 요구 사이에서 둘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을 익힘. 조절

  - 초자아(Superego) : 아이가 부모나 어른을 대하면서 느꼈던 유년기 갈등이 만듦. 부모나 어른과의 관계가 내재화되어 초자아가 됨. 이상을 담음

∙ Ego가 여러 요구를 처리한다는 생각을 도입 → 정신분석 기법 변화 → 현실 세계에 더 관심. 방어기제에 대한 활발한 연구. 치료과정에서 방어기제 해석 활발

 (4) 4기 프로이트 사후 발전 (1939~ )

자아심리학 : Anna Freud(막내딸) 1936자아와 방어기제출간 / 하트만 자아심리학과 적응의 문제

대상관계 이론 (영국) : 로널드 페어번(Ronarld Fairbairn), 위니콧(D.W.Winnicott)

자기심리학 : 1960년대 하인즈 코헛(Heinz Kohut). 자기애적 성격장애 환자 치료에 공헌

⇒ 미국 중심으로 자아심리학 발달 / 영국 중심으로 대상관계 학파 발달 / 남미 중심으로 멜라니 클라인 학파(공격본능과 팬터지 중시)

 

2. 대상관계 (Object Relations)

 (1) 2차 세계대전 전후 : 영국 정신분석학회가 3그룹으로 나뉨

멜라니 클라인 추종 그룹

안나 프로이트 추종 그룹

중간 그룹 (대상 지향, object oriented)

  - 클라인, 말러, 제이콥슨 : 프로이트의 욕동이론과 대상관계 이론을 결합

  - 페이번, 설리반 : 대상추구로 대체

  - 컨버그 : 포괄적으로 통합

(2) 특징

 ∙ 무의식적인 내적 대상관계(internal object relation)에 초점 → 프로이트 식으로는, 전 외디푸스시기(pre-oedipal)의 유아와 양육자간의 이자관계를 중시

     ∙ 타인과 맺었던 중요한 관계 경험은 마음의 흔적을 남김. 타인과의 관계가 마음속에 내재화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