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y/Object Relations

대상관계 요약 02 - 대상관계의 개념

날까마귀 2019. 3. 29. 14:52

1. 대상 (object)

1) 대상(object)은 사랑이나 미움을 받는 사람이나 장소, 사물, 환상을 의미. 유아기 자신을 돌봐주던 사람에

대한 이미지에서 비롯

2) Freud(1905),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에서 사람들이 신 발이나 스타킹과 같은 대상을 성적 대상이나

 사랑하는 사람인 것처럼 관계할 수 있는지 밝힌 것에서 시작

=> 대상은 감정이 투여된 어떤 것, 사람, 무생물, 생각, 환상이 될 수 있음.

3) 최초의 애정 대상은 어머니지만, 사랑과 미움의 정신적 에너지가 투여된 어떤 것을 뜻하는 용어.

4) 대상 : 내적 대상(internal object)와 외적 대상(external  object)가 있음.

- 내적 대상(internal object) : 정신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 어떤 이미지나 사람, 장소, 사물과 관련된 개념이나 환상, 기억.

- 외적 대상(external object) : 정서적 에너지(사랑, 미움 등)가 투여된 사람이나 장소 또는 사물.

 

2. 자기 (self)

  1) 자기 (self)는 나라는 사람과 관련된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정신적 표상.

- 자신이라는 사람에 대한 정신적 표상

- 대상과 마찬가지로 사랑하고 미워하는 정서가 담김

- ‘육체적 자아'를 먼저 떠올릴 수 있음

- : 우울했던 자신의 내면을 검정색으로 표현했던 그림과 내적 자기 표상. 자신의 절망과 슬픔의 감정을 표현한 노래로 자신의 일면을 반영.

 

3. 자기-대상

1) 대상관계는 자기와 내적 혹은 외적 대상과의 상호작용.

  -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 대상관계 구성단위(object relations units)라고 불리는 관계 안에서 존재.

  - 둘 사이는 욕동(에너지), 사랑, 미움과 같은 정서로 연결.

    - : All-good & all-bad 대상관계를 가진 경계선 환자. S.W의 예. Bad가 활성화되어 모든 것이 bad로 보일때. 분노로 연결. / good이 활성화될 때. 사랑으로 연결.

    - 공생경험. 융합.

    - 보통 대상관계(object relations)는 나와 내적 대상표상과의 상호작용임. (‘나와 실제 타인과의 상호작용, 대인관계와는 다른 개념(이병욱 2005).

  2) 대상관계 뿌리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있음. 비록 본능 추동 (instinctual drive)를 더 본질적으로 생각했으나 현실환경이나 대상관계도 중시함(애도와 맬랑꼴리아).

  3) 대상관계 이론은 지난 40~50년간 영국정신분석 학회를 중심으로 중요성이 증가 되어 옴.

- 어린이의 대상관계의 역할을 강조. 어릴 때의 대상관계가 성인의 정신생활에서도 계속 이어진다는 이론.

4) 현재의 관계형성을 하는데 이미 과거에 이루어진 기본 관계 경향(basic inbuilt tendency)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것.

  - 어린이는 어릴 때 대상관계(주로 모자관계나 부자관계)를 내재화(internalization). 어린이는 대상 인물을

제 식대로 상상에 의해 수정한 채 내재화. 이것이 대상 표상(object representation)이 됨.

    - 마음속 자기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는 특정 관계  ( units) 패턴을 형성. (사랑하는 관계, 미워하는 관계, 화내는 관계 등)

    - 이렇게 내재화된 어릴 때의 대상관계(내적 대상 관계)가 성장 후에 인간관계를 맺을 때 재현됨. (이무석, 2008)

5) 전이(transference)를 내적 대상관계와 외현화(externalize)로 보는 전이의 개념은 오늘날 분석 기법에 가장

핵심이 됨. 전이가 환자의 무의식을 현재의 상담관계에서 경험적으로 보여주기 때문.

6) 성격발달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은 크게 두 편으로 나눌 수 있다.

  - 욕구이론 : 본능적 욕구가 추진력이 되어 성격이 형성된다(drive theory)

  - 대상관계이론(환경론): 멜라니 클라인과 영국 대상관계이론가들. 아이를 둘러싼 환경 속에서 중요 대상들이

성격발달에 지배적 영향. 특히 그 인물들과 나눈 관계의 양상이 내재화, 아이의 성격을 형성.

  7) 대상관계 이론의 중심 단어는내재화’, ‘내적 대상관계‘, ‘내적 대상관계의 재현'이다.

    - 사례

    - 이런 내적 대상관계는 무의식에 숨어있어 두려움의 원인을 이해하기 어려움. 정신분석은 내적 대상관계  를 보여줌. 분석가(상담가)를 내적 대상으로 보는 전이가 생기면 분석가와의 관계 속에서 내적 대상관계를 경험함.

 

4. 자아 (ego)

1) 자아(the ego)는 지각, 통합, 사고, 행동, 관찰하는 주체(observer)이다.

2) 자아는 일련의 기능을 하는 추상적 개념. 조작하는 기능임.

3) 학자들 마다 자아(ego)를 정의하는 방식이 다름.

  - 프로이트는 자기에 상응하는 것 & 응집된 조직체이며 조직자의 두 가지로 봄.

  - Hartmann(1952, 1959)는 자기로서 자아 vs 조직자와 체제로서 자아 구별. 체제 자아를 통제의 행위자(agent)로 기술. 변별, 종합 통합 균형을 이루는 기능을 함을 강조.

  - (이 책에서는)Hamilton은 자아는 행위자로서, organizer,  balancer, central regulator 만 의미.

4) 자아가 자기이거나 사람인 것처럼 말하지만, 자아는 일련의 정신과정을 지칭하는 추상화된 개념.

5) 자아가 자기이미지와 대상이미지를 조직하기 때문에 자아 결손은 자기 병리로 이어짐. (function이 안됨)

6) 자아는 지각과 기억, 인지, 정서, 행동과 양심의 요구 영역에서 분별하고 통합하고 균형잡고 조직하는 정신기능의 추상적 개념. 일련의 정신과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