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 요약 12 - 역전이 1. 역전이 1) Freud(1910)는 역전이를 환자에 대한 분석가의 무의식적이고 유아적 반응이기 때문에, 제거해야 할 것이라고 했음. 2) 그러나 최근 역전이는 점차 유용한 치료의 도구로 여겨지고 있음. 또한 환자에 대한 치료자의 의식적이고 적절한 정서적 반응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음(Kernber..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20.01.07
대상관계 요약 11 - 치료관계 속의 기법 (2) 1. 좋고 나쁜 대상관계단위 나란히 놓기 1) 환자가 대상세계를 all-good 과 all-bad로 분열시키면 치료자에게도 이 상태가 혼란스럽고 무력해지기도 함. 치료자에 대한 환자의 경험도 극단적으로 변해서 안정된 개입 시점을 찾기 어려움. (어떻게 분열시키는지 해석하면, 자신이 문제 있다고 ..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20.01.07
대상관계 요약 10 - 치료관계 속의 기법 (1) 1. 통찰과 성장 1) 대상관계이론이 치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도록 새로운 개념을 제공. 그러나 기술적 방법은 이전에 사용되던 것과 동일함 – 명료화, 직면, 해석 – 모두 통찰과 성장의 촉진이라는 목표를 위해 사용. 2) 통찰이란, 지적 이해를 능가, 자기와 대상 사이의 통합과 분화에 있..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20.01.07
대상관계 요약 09 - 기법 속의 치료 관계 1. 치료적 관계 1) 치료에 필요한 것은 전문적 조력을 제공하는 기술적 요소와 인간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관계. 2) 치료자는 자신의 개인적 만족이 아닌, 환자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치료자는 치료비를 청구하고 제한된 범위에서 자신의 호기심을 만족시킬 수 있고, 내담자가 성숙해 가..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20.01.07
대상관계 요약 08 - 대상관계의 연속성 (2) : 경계선 P.D. 자기애적 P.D. 신경증적 성격과 정상성격 1. 경계선 성격장애 (borderline P.D.) 1) 수십 년 간 ‘경계선’이라는 용어는 신경증과 정신분열증 둘 다 갖거나, 그 경계에 있는, 왔다 갔다 하는 환자 를 의미했음. 2) 이후, Kernberg가 경계선 성격 구성이라 명명하는 이해를 제시. 단지 정신병과 신경증 사이를 왔다 갔다 하 는 상태는 아니라 ..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20.01.07
대상관계 요약 07 - 대상관계의 연속성 (1) : 자폐증, 정신분열증, 조증 1. 자폐증 (autism) 1) 자폐증을 가진 사람은 사람과의 정상적 접촉을 하지 않음. 2) 유아가 대상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단계를 활용하여, 몇 가지 가설을 세울 수 있음 - 적절한 공생 대상의 결여 때문. (한 때, 자폐증 자녀의 부모를 비공식적으로 ‘냉장고 부모”라고 부름. 기본적 제공은 ..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20.01.07
대상관계 요약 06 - 심리적 기제 (2) 1.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 1)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를 구분할 때 차이점 : 순수한 투사에서는 자신의 원치 않는 모습은 매우 낯선 것으로 느낌. Vs 투사적 동일시에서는 자기의 부인된 측면도 자신의 한 부분으로 경험됨. 2)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 중 어떤 것이 더 성숙한 기제인..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4.16
대상관계 요약 05 - 심리적 기제 (1) 1. 통합과 분화 (integration & differentiation) 1) 통합(integration)과 분화 혹은 변별(differentiation)은 상호보완적 자아기능. 생애 초기부터 일생에 걸쳐 지속. 2) 통합 : 두 개의 정신적 요소를 의미있게 합치는 것. 지각, 기억, 표상, 정서, 생각 혹은 움직임이 될 수 있음 3) 분화 : 두 개의 정신적인 요..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4.10
대상관계 요약 04 - 대상관계의 발달 : 분리와 개별화, 대상항상성 1. 부화단계 (6-10 개월) 1) 분리-개별화의 첫 번째 단계를 부화 (hatching) 혹은 분화(differentiation)라 한다. 2) 유아는 어머니 품에 안겨있는 동안 어머니를 더 잘 보기 위해 어머니 몸에서 떨어지려 애쓰는 것으로 보임. 3) 분화가 진전되면서 어머니의 신체를 탐색하는 것을 더 즐기게 되어 “어..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4.04
대상관계 요약 03 - 대상관계의 발달 : 자폐와 공생 1. Mahler의 발달 과정 자폐 공생 분리/개별화 (6~24개월) 대상항상성 발달 부화단계 연습단계 재접근단계 0~2개월 2~6개월 6~10개월 10~16개월 16~24개월 24~36+개월 구강기 (0~18개월) 항문기 (18~36개월) 1) 자폐 (normal autism) : 0-2 개월 2) 공생(normal symbiosos) : 2-6 개월 3) 분리-개별화(seperation-indivisuation) : ..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