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
1)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를 구분할 때 차이점 : 순수한 투사에서는 자신의 원치 않는 모습은 매우 낯선 것으로 느낌. Vs 투사적 동일시에서는 자기의 부인된 측면도 자신의 한 부분으로 경험됨.
2)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 중 어떤 것이 더 성숙한 기제인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함. Kernberg(1986)는 투사
가, Hamilton은 투사적 동일시가 좀 더 성숙한 기제라 함(분화와 통합의 측면을 봄)
3) Ogden은 이 현상이 대인 간(interpersonal)측면과 개인 내적(intrapsychic)측면 두 부분이 있다고 언급.
4) 심리치료 상황) 환자는 치료자 내면에 어떤 감정을 불러 일으키게(이끌어 냄) 교묘한 방식의 행동을 함. 환
자 상태와 조율하는 치료자는 평소의 자신과 다르게 느끼고 행동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됨. 실제로 환자가 치
료자 내면에 원치 않는 감정을 불러 일으킴. => 치료자 내면의 이런 감정(관찰이 필요)은 환자의 깊고 혼란
스러운 정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5) 투사적 동일시는 재접근단계 유아에게 발견. 유아는 자신의 감정을 쉽게 부모에게 투사하고 그 감정을 통제
하려 함. (공감의 기제)
6) 투사적 동일시는 Klein이 처음 사용한 용어. 편집-분열성 시기에 일어나는 유아의 심리적 과정을 묘사함.
7) Klein은 원하지 않는 자신의 일부분을 분리시켜(split), 투사하고(projection), 해를 입히려하고(harm), 조정하고
(control), 소유하려고 하는(possess)것을 투사적 동일시라 하였다.
8) 투사적 동일시는 무의식적 환상 경험이지만, 초기 유아는 전지전능의 환상(omnipotent fantasy) 속에 살아가
기 때문에 투사한 공격성이 현실처럼 믿게 되고 생생하게 경험한다.
9) Bion(1959)는 더 정교화 하여 설명. 유아는 베타요소(날 것의 감각, 감정 등)를 처리할 심리장치가 없어 불쾌
감이 우세하면 베타요소를 대상에게 투사. 대상이 환상의 능력이 있는 경우, 그는 자신에게 투사된 것을 담아내고(contain), 동일시 하고(identify), 변형시켜(transform), 보다 견딜 수 있는 형태로 되돌려준다. -> 이를 알파 기능이라 불렀다.
10) 앞의 예처럼, Bion은 투사적 동일시가 엄마에게 일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현실적 측면이 있다고 강조. 이것
은 분석 장면에서 동일하게 반복. 환자가 투사하는 것을 강렬한 감정과 경험을 분석가가 직접 느끼고 경험함!
-> 투사적 동일시가 한 사람의 마음속의 환상(intrapsychic fantasy)이 아니라 두 사람 사이에서 발생하는 복
잡한 관계적 상호작용(interpersonal interaction)이라고 함.
11) 유아는 자신의 느낌을 말로 설명할 수 없다. 대신 어머니가 그렇게 느끼도록 만드는 것. 결국 아이는 투사
적 동일시 과정을 통해 어머니와 소통을 한 것.
12) 치료에서의 활용
- 치료자가 어떻게 처리하는가에 따라 투사적 동일시의 영향 여부가 달라짐. 환자에게서 투사된 것에 지나치
게 경직되거나 너무 유약하게 반응하지 않아야 투사적 동일시를 통해 환자의 깊은 갈등과 고통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음.
- 치료자가 너무 경직되면, 환자가 무엇을 투사하는지 보지 못함. 자신의 기준 이외에 유연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없음.
- 치료자가 너무 유약하면, 환자의 투사에 너무 압도되어 견디지 못함. 압박감을 매우 불편 고통스러워함.
- 그러면 치료자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 어머니의 유연한 담아내기 태도 : 어머니가 아이가 느끼는 두려움을 같이 느끼면서도 유연성을 가지고
심리적 균형을 잃지 않고 견디는 것이 필요!! 투사 받은 것을 담아내고 자신의 내면에서 소화시켜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되돌려주어야 함. -> 결과적으로 아이(내담자)의 파괴적 공격성은 완화되고 아이는 심리적 발달을 이룸.
∙ 치료자는 자신이 평소와 다르게 부적절하게 느끼고 행동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게 중요
∙ 치료자는 투사된 것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개방적이어야 함
∙ 수용에서 더 나아가, 투사된 것을 담아내고(contain), 그 감정을 조율하고(modulate), 변형시키고(transform), 의미를 부여하여 환자가 동화시킬(assimilation)있는 형태로 돌려주어야 함
2. 중간대상 형성 (transitional object formation)
1) 중간대상은 자기도 아닌 타인도 아닌, 동시에 양쪽의 특성을 갖고 있음. – 내적 현실과 외적 현실을 분리,
동시에 연결.
2) 중간 대상은 유아의 발달단계에서 분화단계에서 시작되고, 재접근기에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또한 성인기에
도 경험된다.
3) 유아기 때 가지고 다니고, 빨고, 잡고, 안는 담요나 인형, 고무젖꼭지는 중간 대상의 예. 담요는 아이가 감싸
안지만 동시에 아이를 감싸기도 함. 온기를 얻고 또 아이에게 돌려줌. 냄새를 갖게 되고 냄새를 돌려줌.
4) 중간 대상이 자기 위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함. 담요나 테디베어는 나를 위로해주고, 이런 위로가 내면화되어
자기위로능력이 생김. Kohut은 ‘변형적 내재화’라고 부름.
5) 성인에게도 중간 대상(현상)이 존재. 예) 낡고 오래되고 냄새도 나는 오랜 의자에서 위로를 얻는 사람 / 자
신이 좋아하는 자화상이 없이는 마음이 편치 않은 사람. -> 익숙하고, 거기에 가면 편한 장소, 편한 노래, 편
한 자세.. 는 자기를 표현하고 자기를 달래는 것임.
6) 치료 중에도 치료자에게 받은 메모, 펜, 청구서도 중간대상의 역할을 함. 좋은 대상인 치료자와의 분리를 참
을 수 있게 도움.
3. 온전한 대상관계의 발달 (developing whole object relations)
1) 자아는 궁극적으로 자기표상의 좋은 면과 나쁜 면, 대상표상의 좋은 면과 나쁜 면을 통합함(좋은 것과 나쁜
것의 통합). => 전적으로 좋은 대상이미지와 전적으로 나쁜 대상이미지가 합쳐지고 통합되면 대상항상성을
발달해 가는 것이라고 부름. 결과적으로 정체성이 공고해짐. (흑백이 아닌 회색지대가 있음을 인정)
2) 이상화된 어머니와 치료자였다가, 치료자 진행되면서 치료자에 대한 자신의 부정적 느낌을 인지. 점차 부정
적 느낌과 긍정적 느낌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게 됨. => 온전한 대상관계를 발달 시킨 것.
3) 용서는 온전한 대상관계의 획득에 달려있음. 상호 모순적 이미지를 모두 마음 속에 가질 수 있어야 함.
4) 재접근기 이후, 유아는 어머니에 대해 욕구를 만족시켜주면서도 때로 좌절시키는 존재라는 인식을 발달시킴.
5) 유아는 전적으로 좋고 전적으로 나쁜 경험의 분열에서 온전한 대상관계로 발전해나감. -> 이를 위해 통합적
자아기능의 발달이 중요. -> 기억, 비교할 수 있는 신경생리적 발달도 중요하나, 좌절이 자신의 내적 평형을 모두 파괴하지 않을 것을 알도록 충분히 좋은 경험을 갖는 것이 필요함.
6) Erikson은 이를 기본적인 신뢰의 발달이라 부름. ‘상실’은 강력한 감정을 일으켜, 통합하는 자아의 기능이 일
시적으로 압도될 수 있음. 유아는 더 취약하여, 만성적 좌절 경험 시 통합적 자아기능 발달이 어려움(all-
good과 all-bad의 분열된 자기대상에 갇히게 됨).
7) Hartmann과 다른 자아심리학자들은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의 향상(대상항상성 발달)을 중화(neutralization)이
라 부름. 그러나 Hamilton은 ‘통합’이라 부르는 게 더 낫다고 함.
8) Klein은 좋고 나쁜 자기세계와 대상세계가 합쳐지는 상태를 ‘우울 자리(depressive position)’이라 표현.
9) Mahler는 통합과 온전한 대상관계의 발달이라 표현.
10) Kohut은 응집된 자기(cohesive self)의 형성이라 표현.
11) “동료를 잃은 슬픔과 살아남은 기쁨을 설명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라는 말처럼, 상호 모순된 감정을 동
시에 인정하고 견뎌내는 이런 능력이 온전한 대상관계임.
4. 동일시 (identification)
1) 동일시는 함입이나 내사보다 더 선택적이고 세련된 것. 대상 이미지를 소화하여 자신의 것이 되는 것. Vs 내
사는 대상의 행동, 태도, 자세 등을 받아들임. 소화하지 않은 채 남아있음.
2) 아동 발달에서, 동일시는 온전한 대상관계가 성숙해질 때 더 분명해짐. 이 시기에 오이디푸스 관계는 동일시
에 있어 중요.
3) 자신이 작고 무력하고 아버지와 경쟁할 수 없다고 느끼는 소년은 어머니의 관심을 얻기 위해 그리고 아버지
와 갈등을 피하기 위해 아버지와 동일시함. 아버지를 동일시하면서 사회적인 바람직한 행동을 동일시하는 효
과가 있음.
'Psychology > Object Rel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관계 요약 08 - 대상관계의 연속성 (2) : 경계선 P.D. 자기애적 P.D. 신경증적 성격과 정상성격 (0) | 2020.01.07 |
---|---|
대상관계 요약 07 - 대상관계의 연속성 (1) : 자폐증, 정신분열증, 조증 (0) | 2020.01.07 |
대상관계 요약 05 - 심리적 기제 (1) (0) | 2019.04.10 |
대상관계 요약 04 - 대상관계의 발달 : 분리와 개별화, 대상항상성 (0) | 2019.04.04 |
대상관계 요약 03 - 대상관계의 발달 : 자폐와 공생 (0) | 2019.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