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 요약 06 - 심리적 기제 (2) 1.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 1)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를 구분할 때 차이점 : 순수한 투사에서는 자신의 원치 않는 모습은 매우 낯선 것으로 느낌. Vs 투사적 동일시에서는 자기의 부인된 측면도 자신의 한 부분으로 경험됨. 2)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 중 어떤 것이 더 성숙한 기제인..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4.16
대상관계 요약 05 - 심리적 기제 (1) 1. 통합과 분화 (integration & differentiation) 1) 통합(integration)과 분화 혹은 변별(differentiation)은 상호보완적 자아기능. 생애 초기부터 일생에 걸쳐 지속. 2) 통합 : 두 개의 정신적 요소를 의미있게 합치는 것. 지각, 기억, 표상, 정서, 생각 혹은 움직임이 될 수 있음 3) 분화 : 두 개의 정신적인 요..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4.10
상담심리학 이론 정리 상담심리학 이론정리_181114.pdf 상담심리학의 주요 이론을 정리해 보았다. 대학원 입학 준비를 위해서 정리한 것인데,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 같다. 최근에 소개되는 이론을 포함해서... Psychology/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9.04.04
대상관계 요약 04 - 대상관계의 발달 : 분리와 개별화, 대상항상성 1. 부화단계 (6-10 개월) 1) 분리-개별화의 첫 번째 단계를 부화 (hatching) 혹은 분화(differentiation)라 한다. 2) 유아는 어머니 품에 안겨있는 동안 어머니를 더 잘 보기 위해 어머니 몸에서 떨어지려 애쓰는 것으로 보임. 3) 분화가 진전되면서 어머니의 신체를 탐색하는 것을 더 즐기게 되어 “어..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4.04
대상관계 요약 03 - 대상관계의 발달 : 자폐와 공생 1. Mahler의 발달 과정 자폐 공생 분리/개별화 (6~24개월) 대상항상성 발달 부화단계 연습단계 재접근단계 0~2개월 2~6개월 6~10개월 10~16개월 16~24개월 24~36+개월 구강기 (0~18개월) 항문기 (18~36개월) 1) 자폐 (normal autism) : 0-2 개월 2) 공생(normal symbiosos) : 2-6 개월 3) 분리-개별화(seperation-indivisuation) : ..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3.29
대상관계 요약 02 - 대상관계의 개념 1. 대상 (object) 1) 대상(object)은 사랑이나 미움을 받는 사람이나 장소, 사물, 환상을 의미. 유아기 자신을 돌봐주던 사람에 대한 이미지에서 비롯 2) Freud(1905),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에서 사람들이 신 발이나 스타킹과 같은 대상을 성적 대상이나 사랑하는 사람인 것처럼 관계할 ..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3.29
대상관계 요약 01 - 정신분석과 대상관계이론 1. Sigmund Freud (1856년~1939년)의 생애와 정신분석의 발달 (1) 제1기 손상이론 시기 (1856년~1897년) ∙ Anna O 사례와 Charcot 박사를 통해 Hysterie의 원인 → 심리적 손상(psychic trauma)와 성문제 ∙ Charcot : 심리적 원인에서 정신질환 발생, 정신기능이 두 가지 다른 면(의식과 무의식)을 갖고 있음 ∙ 히..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3.29
대상관계 상담심리대학원 1학차, '대상관계 이론의 기초' 과목을 수강하고 있다. 매번 레포트를 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예습효과와 이해효과가 탁월하다. 지금부터 교재 내용을 요약하여 제출한 내용을 연재해 보려고 한다. 원서를 읽어 보려고 했는데 다른 과목 원서를 읽다 보니 시작도 못했다.. Psychology/Object Relations 2019.03.29
심리학의 이해 - 이화여대 양윤 교수 (KOCW) KOCW를 통해서 심리학의 이해를 공부하였다. 전체적인 심리학 흐름을 이해하는데 최고의 강의인 것 같다. 내용의 깊이가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 심리학에 대단히 관심이 많기에 동영상 강의를 들으면서 캡쳐, 필기를 하였다. 두고두고 참고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이제부터는 심리학 세.. Psychology/Introduction to Psychology 2017.09.29